-
제주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조기 정착을 위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현장홍보 및 무단투기 행위와의 전쟁을 연초부터 치르고 있다. 시 본청 및 동주민센터 공무원들은 새해 벽두부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주민홍보 및 실천 계도활동을 전개해왔다. 여기에 주민자치위원, 새마을부녀회원, 통장, 청년회원, 바르게살기위원, 청소년지도위원 등 지역지도자와 자생단체 회원들이 힘을 모아주고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2.26 08:55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는 제주국제자유도시라는 이정표 달성을 통해 '행복 제주'를 구현하고자 매진하고 있다.이러한 도시의 건설은 긍정적인 마인드로 무장한 지역인재들의 열정과 도전정신에 의해 추진돼야 한다. 일본의 근대화는 해외유학이 가져온 대표적 성공사례이다. 1860년 후쿠자와 유키치 등 96명의 일본 젊은이가 태평양을 건넌 이래 유학은 일본이 심혈을 기울인 국가적 사업이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2.19 09:19
-
'칭찬'을 성장에너지라고 한다.근대 심리학의 창시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인간의 기본적인 성향 중에서 가장 강한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갈망이라고 했다.그는 인간의 잠재능력은 절반 정도만 깨어 있다고 분석했다. 육체와 정신적 능력이 절반만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다. 칭찬의 효과는 잠자는 인간의 잠재력을 깨워 육체와 정신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2.11 18:11
-
제민일보가 올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WeLove(We♥)'프로젝트의 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긍정의 힘, 제주를 바꿉니다'란 슬로건 아래 펼쳐지고 있는 이 캠페인은 칭찬하는 사회분위기를 확산시킴으로써 제주지역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 위한 취지로 기획됐습니다.따라서 이 '칭찬하기'는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2.08 11:15
-
학교교육이든 가정교육이든, 그 어떤 교육에서도 중요한 덕목 중의 하나는 '칭찬'입니다. 교육의 가장 큰 힘은 바로 칭찬의 힘입니다.교육의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 중에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그리스 신화 속 피그말리온 왕이 자신이 조각한 여성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조각상은 하나의 조형물에 불과한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2.04 09:15
-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영 컨설턴트인 켄 블랜차드 박사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책을 통해 무게 3t이 넘는 범고래들의 멋진 쇼를 하게 만드는 비결은 '칭찬'이라고 말해주고 있다. 고래 조련사가 집채만 한 고래를 점프하게 하는 것을 한 순간에 가르친 게 아니라 아기 고래 때부터 늘 조금씩 뛰었을 때 칭찬하고, 고래가 좋아하는 고기를 던져 줌으로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1.28 09:01
-
제주섬은 거친 자연환경과 망망대해에 에워싸여 정말로 사람이 살기에 척박한 섬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예로부터 제주도민은 긍정의 힘에 기대어 크게 희망을 품어 '세상 어디에도 없는 아름다운 낙원 제주'를 이룩하였습니다.있으면 하나같이 보람되게 쓰고 없으면 서로 나누어 있게 하였습니다. 이웃이 배려하며 한 몸처럼 아끼고 역사의 아픈 상처를 어루만져 위무해 왔습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1.22 09:10
-
곶자왈공유화재단을 특수법인으로 만들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그런데 중앙에 있는 기관을 다니며 반대하는 사람이 있다. 제주도를 세계환경수도로 만들기 위해 범도민적인 움직임을 보이자 이번엔 제주에 와서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 자기의 주장을 펼칠 수는 있지만 막무가내로 반대만 하는 사람이다. 딱해 보인다. 모든 일에는 반대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이 찬성하면, 자기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5∼6년 사이에 제주에는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1.14 09:01
-
제주지역에서는 1980년대부터 지역개발과 각종 선거를 둘러싼 갈등, 4·3 문제 해결, 해군기지 건설 등과 관련된 이념갈등 등 여러 형태 갈등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와 같이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개인이나 집단의 목표·가치가 서로 다른데다 인적·물적 자원이 한정돼 어디에서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갈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갈등 중 건설적 갈등은 사회 내에
지난 프로젝트
제민일보
2013.01.07 09:15